“심근경색 초기증상과 예방법: 당신의 심장을 지키는 7분의 지식”
■목차
- 심근경색이란?
- 심근경색과 협심증의 차이
- 심근경색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 주요 위험 요인
- 심근경색 발생 시 대처법
- 심근경색 예방법 7가지
- 마무리: 건강한 심장을 위한 오늘의 선택
1. 심근경색이란?
심근경색(Myocardial Infarction)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 근육이 괴사되는 질환입니다.
보통 ‘심장마비’라고 불리며, 빠르게 대처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질환입니다.
👉 한국인 사망 원인 2위 (통계청, 2023)
2. 심근경색과 협심증의 차이
심근경색과 협심증은 비슷해 보이지만 증상의 심각성과 원인이 다릅니다.
구분
협심증
심근경색
원인
관상동맥 일시적 협착
관상동맥 완전 막힘
통증
짧게 발생, 휴식 시 완화
20분 이상 지속, 휴식해도 지속됨
위험성
비교적 낮음
매우 높음, 생명 위협 가능
치료방법
약물 또는 스텐트 시술
응급 시술 필요 (혈전 제거, 스텐트 등)
3. 심근경색 초기증상 체크리스트
초기 증상을 빠르게 인지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열쇠입니다.
✅ 가슴 중앙이 짓눌리는 듯한 통증 (15~30분 이상)
✅ 왼쪽 팔, 어깨, 목, 턱으로 퍼지는 통증
✅ 갑작스런 숨 가쁨 또는 호흡 곤란
✅ 식은땀, 구토, 현기증, 극심한 불안감
✅ 고령자나 여성의 경우 속쓰림처럼 느껴짐
TIP: 당뇨병 환자는 통증 없이 진행되기도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주요 위험 요인
심근경색은 생활습관과 건강 상태에 크게 좌우됩니다.
- 고혈압
- 고지혈증 (LDL 콜레스테롤↑)
- 흡연
- 당뇨병
- 비만
- 가족력
- 스트레스 및 운동 부족
- 과음 및 수면 부족
5. 심근경색 발생 시 대처법
심근경색 증상이 의심되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자력으로 병원 가려다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으므로 절대 금지입니다.
🚨 응급 대처 요령
- 환자를 눕히고 편안하게 쉬게 함
- 꽉 끼는 옷을 느슨하게 풀기
- 의식이 없고 호흡이 멈췄다면 즉시 심폐소생술(CPR)
- 병원 도착 전 아스피린 1정 복용 (단, 알레르기 없을 경우)
6. 심근경색 예방법 7가지
심장질환은 예방이 가능하고, 그 예방은 지금부터 실천할 수 있습니다.
- 혈압·혈당·콜레스테롤 수치 주기적 확인
- 하루 30분 이상 걷기
- 포화지방 줄이고 채소, 생선 섭취 늘리기
- 금연, 절주 필수!
- 체중 감량 목표 설정
- 스트레스 해소: 명상·취미·대화
- 충분한 수면 (7시간 이상)
7. 마무리: 건강한 심장을 위한 오늘의 선택
심근경색은 언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위험은 생활습관만으로도 충분히 낮출 수 있습니다.
오늘의 식사, 오늘의 운동, 오늘의 마음가짐이 당신의 심장을 살립니다.
“심장은 멈추기 전까지 소리 내지 않습니다. 우리가 먼저 귀 기울여야 합니다.”